<Sr.>는 배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그의 아버지이자 영화감독인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의 삶과 그들의 작품을 기록한 다큐멘터리다. 영화는 ‘타이거킹'(2020), ‘짐&앤디'(2017), ‘배드 비건'(2022) 등으로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장인이 된 크리스 스미스와 다우니 부자의 협업으로 만들어졌다.
[<Sr>다큐멘터리 출처 IMDB]
로버트·다우니·주니어(이하”주니어”라고 한다.)는<아이언맨>시리즈 이후 할리우드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군림하는 메가 스타가 됐다.아버지 로버트·다우니·시니어(이하”다우니”)도 1960,70년대의 언더 그라운드 시네마를 대표하는 감독이지만 아들의 유명인보다 덜 알려졌다.언더 그라운드 시네마는 메이저 극장에 배급되는 형식이 아니라 독립 영화를 모두 묶어 칭하는 컨셉이었거든.그러므로 근거지도 할리우드가 위치한 LA이 아니라 다른 도시 중심으로 발전했다.극중 다우니가 캘리포니아에서 영화를 만드는 것은 같은 장면을 반복 찍는 것이라고 불평하는 장면이 등장한다.생애(몇편의 영화 제작 기간을 제외)뉴욕을 떠나지 않는 이유는 어디를 찍어도 항상 새로운 이미지가 나오기 때문이라고 덧붙여지만 다우니를 포함 많은 언더 그라운드 시네마 출신자는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했다.60년대 들어 민권 운동과 베트남 반전 운동 등 혁명의 기운이 강해지면서 언더 그라운드 시네마는 반 문화 운동(counter-culture movement)의 하나로서 정착되어, 본래 의미에서부터 좀 더 정치적 급진적인 형태의 영화로 변모했다.우니도 당시 사회적 변화에 강한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 중 한명으로 주로 사회 풍자와 비판의 수위가 높은 저예산 코미디 영화를 만들었다.그 중”퍼트니·스 워프”(1969)는 백인 중심의 광고 회사에서 혼자만의 흑인이 회사의 대표로 선출되면서 벌어지는 해프닝을 다루는 풍자 코미디이다.이 영화를 통해서 다우니는 할리우드와 대기업에 만연하는 인종 차별을 비판한다.전반적으로 높은 표현 수준과 신문사별로 보이콧을 내리는 정도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영화 포스터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이후 2016년 미국 의회 도서관에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으로 중요한 작품”으로 임명되어 들어갔다.영화 감독인 다우니의 예찬자인 폴·토머스 앤더슨 역시 자신의 작품,<부기·나이츠>에서 “박스 워프”라는 캐릭터를 만들어<퍼트니·스 워프>에 대한 오마주를 표현했다.
[<패트니 스와프> 개봉 포스터: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시카고 트리뷴이 포스터를 싣지 않자 “신문사의 자체 검열이 개탄스럽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다우니의 독특한 경력은 아들 주니어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그는 아버지의 또 하나의 풍자 코미디”파운드”(1970)을 통해서 5세로 데뷔했다.<파운드>은 다우니가 쓴 오프 브로드웨이 연극<더·커머스(The Comeuppance, 당연한 벌)을 기반으로 한 장편 영화에서 개들이 주인공의 풍자극이다.개는 모두 인간 배우들이 연기를 하지만 로버트·다우니, 주니어는 가장 어린 강아지 역을 맡았다.다우니의 작품 활동은 2000년대까지 이어 이 시간에 그가 만든 작품은 20여개에 이른다.다큐멘터리<Sr.>은 로버트·다우니·주니어가 아버지에 두 사람을 위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보라는 권유를 하면서 시작된다.아버지의 독특한 세계관과 연출 스타일이 좋아했던 주니어가 아버지가 파킨슨 병을 선고 받자 마지막으로 영화를 만들어 보기를 종용한 것이다.궁극적으로 영화는 아버지의 손에서는 완성하지 않지만, 이 영화는 전면적으로 다우니 부자의 대화, 추억, 그리고 그들의 작품으로 가득 찬 회고록일 것이다.온화하고 담담한 부자의 일상, 혹은 그들의 통화는 상냥한 따뜻하지만 영화 중반에 그들은 서로 마주보고, 마침내 각자의 “바닥”에 대해서 털어놓는다.다우니는 1987년 『 레스·던·제로 』을 만들어 마약에 중독되기 시작했다고 고백한다.”마약과 창의력이 동일시되던 그 시절”에서는 그도 역시 명백한 정신을 버리고 배회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영화는 다행히도 완성됐지만 다우니는 잠시 중독자로 지내는 상당수의 그의 작품에 출연한 배우에서 주니어의 생모인 알 시·포드도 이 시기에 그를 떠났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주연의 <레스 던 제로>(1987)]
로버트·다우니, 주니어는 아버지보다 더한 마약 중독에서 장시간을 보냈다.실제로 그의 중독은 연일 타블로이드 신문을 장식한 만큼 큰 가십이었다.1995년부터 03년까지 그는 재활 병원에 출입하고 총기 소지, 음주 운전, 마약 소지 등 크고 작은 사고의 주범으로 활약했다.할리우드의 누구도 그가 재활에 성공하리라고는 예측하지 않았다.그러나 영화”고티카”(2004, 마티유·카소우이쯔츠)에서 조연을 시작으로 주니어는 서서히 일어서기 시작했다.그리고 불과 4년 후 그는<아이언맨>의 주인공”토니, 스타크”으로 화려하게 부활했다.영화<Sr.>이 보이고 주는 다양한 순간 속에서 가장 감동적인 지점은 다우니와 주니어가 서로의 중독 시대에 대해서 말해이 지점이다.우니가 중독에서 벗어나지 못한 시절 아들은 이미 아버지의 마약 복용 사실을 알고 있었고, 주니어가 10년 이상 마약에서 괴로워하는 모습을 다우니도 지켜본 것이다.그들의 놀라운 점은 각자가 한번도(중독의 정점에 있던 시기조차)서로를 떠난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그들은 항상 전화를 해서 대화를 지속하고 한번도 서로에 절망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 부자]
<Sr.>의 차분한 감각적인 톤을 감안하면 이 작품의 연출인 크리스·스미스의 조합이 다소 의외로 느껴진다.<타이거 킹>나<Fyre:꿈의 축제에서 악몽의 사기극에>(2019)을 포함한 그가 넷플릭스를 통해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시리즈는 화제성과 선정성, 그 사이에 존재하는 상품에 가까운 다큐멘터리였다 때문이다.이번 작품을 통해서 스미스는 다큐멘터리 목록으로 부자의 인생 역전만큼이나 큰 이행을 보인다.그러나 무엇보다<Sr.>는 유명한 부자의 마약 극복 스토리 뿐 아니라 언더 그라운드 시네마에서 태어난 아티스트들의 시선을 통해서 그려지는 연대와 투쟁의 기록이기도 하다.뉴욕의 지저분한 골목의 이곳저곳을 카메라를 들고 다니던 다우니·시니어의 뒷모습은 할리우드의 자체 검열과 스튜디오 글로신 이미지를 거부한 언더 그라운드 영화 자체와 비슷하다.
김효정(영화평론가)